- 그냥 클래스
- useValue
- useClass
- useExisting
- useFactory
이렇게 총 5가지의 주입 방법이 더 있다.
우리가 지금까지 한 것은 1번에 속한다.
useClass, useValue
이 두개는 사용법이 되게 간단하다. 그냥 보이는 그대로이다.
딱히 설명이 필요 없다고 판단되어 그냥 넘어가도록 한다.
use FactoryService
about이라는 서비스를 하나 더 생성한 뒤 이렇게 작성한다.
팩토리는 서비스 안에 인자를 넣어서 다른인자를 호출 할 수 있다.
서비스에서 이렇게 인자 값을 설정하면 빨간 밑줄이 사라질 것이다.
또 재밌는 점은 특정 값을 지정 할 수 있다.
AboutService에 Logservice라는 값과 false라는 값을 넣는데
그 값은 deps를 통해 LogService에서 가져오라는 말이다
이렇게 수정을 한 뒤 팩토리 사용법은 아래와 같다.
@inject('factory') private factoryService
ng serve를 통해 실행 시켜보면
콘솔도 잘 찍힌다
마지막으로 useExisting은 useClass를 use Existing으로 바꿔주면 된다.
기능은 인젝트로 들어갈 수 있게 해주는 것이다. 별거 없다.
'TypeScript > Angular' 카테고리의 다른 글
Angular - Directive (0) | 2020.05.19 |
---|---|
Angular - httpModule (0) | 2020.05.18 |
Angular - service(3) Module Provider (0) | 2020.05.18 |
Angular- service(2) - component providers (0) | 2020.05.18 |
Angular- Service(1) 개요 및 설명 (0) | 2020.05.18 |